분류 전체보기 107

반응형

집 인테리어 3D로 시뮬레이션 하기 (feat. 오늘의집)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라면 오늘의집은 다들 알고 있지 않을까 싶다. 오늘의집은 인테리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마음에 드는 제품을 사이트에서 바로 구매도 가능하고 인테리어 시공에 대한 것까지도 사이트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인테리어 플랫폼이다. 오늘의집에서 얼마 전부터 3D 인테리어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추후에는 방침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현재는 베타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어서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ohou.se/3d_intro 오늘의집 3D 가구 시뮬레이터 - 우리집 도면에 3D로 가구 배치를 해보자 오늘의집 판매 제품을 손쉽게 배치해보고 다양한 시점으로 실감나게 확인해보세요! ohou.se 살짝 3d 시뮬레이터 서비스를 이용해 봤는데 장난 아니다. 왜..

집. 2020.09.23

왓챠에서 볼 만한 경제 관련 영화, 다큐 5개 추천

1. 자본주의 EBS 다큐프라임에서 2012년에 방영한 자본주의 다큐멘터리. 경제에 대해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추천되는 작품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자유롭지 못한 오늘날, 돈에 관한 진실과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혀내고 우리를 나락으로 빠뜨리는 자본주의의 유혹과 위험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지 알아본다..." 총 5개의 에피소드가 있고 각각 약 한시간정도의 분량이다. Episode 1 Episode 2 Episode 3 Episode 4 Episode 5 경제 초보자가 보기에 제법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에피소드는 경제학 이론과 관련된 내용이라 살짝 지루할 수 있다. 2. 강대국의 비밀 역시 다큐프라임에서 만든 경제 다큐멘터리다. "세계를 지배했던 로마, 몽골, 영국, 네덜..

[노션 사용법] 노션에 쓸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

오늘의 노션 사용법 ! 아이콘 노션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이모지들이 있다. 페이지에서 add icon을 누르면 이런 다양한 이모지들이 나오고 그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페이지 커버에 적용이 된다. 그런데 이런 기본 이모지 말고 인터넷에서 가져온 이모지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은 내가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다. Notion Icons라는 사이트인데 무료고 회원가입도 필요없다 www.notion.vip/icons/ Notion Icons The easiest way to use gorgeous icons in Notion — now with Dark Mode. www.notion.vip 메인 페이지에 보면 아이콘들이 보이고 라이트 모드와 다크 모드에 따라 아이콘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인이 라이트 모드로 노션을..

[노션 사용법] 독서노트 템플릿 만들기

오늘의 노션 사용법 독서노트 템플릿 만들기 ! 노션으로 독서노트 템플릿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내가 지금 쓰고 있는 독서노트는 이런 모습이다. 메인 페이지는 갤러리 뷰로 카드 하나에 책 표지와 작가, 분야, 날짜, 평점 등의 정보가 나오도록 설정했다. 갤러리뷰를 테이블 뷰로 바꿨을 때 보이는 모습이다. 오른쪽의 Filter 기능을 이용하면 저자별, 날짜별, 분야별 등등 원하는 분류대로 볼 수가 있다. 책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위쪽에는 책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아래 본문은 2열 배열로 목차와 독서노트가 적혀있다. 목차는 table of contents 블록으로 되어있어서 각 장의 제목을 클릭하면 그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독서노트가 이동한다. 독서노트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

[노션 사용법] 노션 꿀팁! - 화면 분할

오늘의 노션 사용법 화면 분할! 노션에서 화면 분할은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데 기본 방식은 매우 간단하다. 화면 분할하기 기본 방식! 텍스트 블록 두 개를 만들고 아래 텍스트를 드래그해서 위쪽 텍스트 오른쪽으로 가져다 놓으면 된다. 파란 세로 선이 보이면 화면이 분할된다는 의미다. 아래에 보듯이 기본 2분할부터 원한다면 여러 번의 분할도 가능하다. 참 쉽죠?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다. 분할한 영역 아래에 또 분할을 하려면?? 화면 분할 한뒤에 그 아래 또 분할을 하려고 하면 위의 방식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럴 때 해결방법은 Page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단 임의의 텍스트를 페이지로 만든다. 그 페이지로 들어가서 아까처럼 화면 분할을 해준다. 여기서는 2분할을 해주었다. 뒤로 가기를 눌러서 원래 페이지로 ..

[노션 사용법] 다양한 위젯 추가하기!

오늘의 노션 사용법 위젯 추가하기 ! 노션에 아주 간단하게 위젯을 추가할 수 있는 "무료" 사이트를 발견했다. indify.co/ Indify – Notion Widgets Level up your Notion docs with widgets. Fully customizable, and seamless to set up. indify.co 생긴 지 얼마 안 됐는지 활용할 수 있는 위젯은 현재까지 6종류다. 명언 / Life Progress Bar (인생이 얼마나 남았는지 보여주는 바) / 날씨 / 구글 캘린더 연동 / 카운터 / 카운트다운 매 달 새로운 위젯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 위의 사이트에서 위젯을 가져와 사용하려면 로그인을 해야 한다. 로그인은 이메일로 가능하다. ▼▼▼ 이용방법은 매우 매우 ..

20조 규모의 뉴딜 펀드

뉴딜펀드?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뉴딜펀드는 3가지 펀드로 구성된다. 정책형 뉴딜펀드, 뉴딜 인프라펀드, 민간 뉴딜펀드. 투자대상은 1) 그린 스마트스쿨, 수소충전소 구축 등 뉴딜 관련 민자 사업 2) 수소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등 뉴딜 관련 프로젝트 3) 데이터 센터, 디지털 SOC 안전관리시스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시설 등 민자사업 외 뉴딜 인프라 4) 뉴딜 관련 창업 벤처기업 여기서 규모 20조 원은 정책형 뉴딜펀드와 관련한 얘기다. 정책형 뉴딜펀드 정부는 향후 5년간 20조원 규모로 정책형 뉴딜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20조 중에 정부에서 3조 원, 정책금융기관에서 4조 원을 투입해 총 7조 원 규모의 모(母)펀드를 조성한다. 나머지 13조는 금융회사, 연기금, 민간자금의 투자로 이루어진다...

금융지식 시리즈 6 - 적립식 펀드

거치식 펀드? 적립식 펀드? 거치식, 적립식 펀드는 펀드의 종류가 아니고 펀드에 투자할 때 자금을 불입하는 방식을 말한다. 거치식은 목돈을 한 번에 불입하는 방식이고, 적립식은 매달 혹은 일정한 주기로 일정 금액을 불입하는 방식이다. 이는 펀드 투자시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인데 종잣돈 마련을 위해서는 적립식이 유리하다. 적립식 펀드는 은행의 적금상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수익률 면에서 보면 적립식 펀드가 적금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펀드의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적용되는 점도 적금과 비교해 장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펀드는 엄연한 투자상품으로 적금보다 리스크가 크다는 사실도 유념해야 한다. 본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적금을 할지, 적립식 펀드를 결정하자.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평균 매..

금융지식 시리즈 5 - ELS / ELF / DLS / ELD

ELS(Equity Linked Security, 주가연계증권): 정해진 시점에 특정 주가지수나 주식 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사전에 약정한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이다. 지수를 기반으로 할 경우 지수형 ELS, 특정 기업의 주식을 기반으로 하면 종목형 ELS, 유가나 금, 환율 등 다양한 파생 상품 가격을 기반으로 하면 DLS 상품이라 부른다. ELS의 최대 장점은 지수나 주가가 조금 떨어져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 주식이나 펀드는 바로 손실로 이어지지만 ELS는 그렇지는 않다는 말이다. 때문에 등락을 반복하는 박스권 장세에서 투자하기 좋은 상품이다. 단점은 적립식이 아니고 목돈 거치식이란 점이다. 최소 10만원 혹은 100만원 이상이 필요한 상품이 대부분이다. 또한 ..

금융지식 시리즈 4탄 - P2P

P2P란? P2P는 Peer To Peer, 즉 대출자와 투자자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의 금융상품을 말한다. 이때 P2P 플랫폼 업체를 통해서 두 주체 간의 거래가 성사된다. P2P를 이용하는 대출자는 신용등급(4~7등급 정도의 중신용) 때문에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 등에서 고금리로 돈을 빌리기엔 부담이 되던 차에 P2P 서비스를 통해 중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P2P는 은행보다는 고금리 이자를 얻을 수 있으면서 주식이나 펀드보다는 안전한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다가왔다. P2P의 수익구조는 은행과 비슷하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사이의 차익을 은행이 중간에서 가져가듯이 P2P도 대출자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