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7

반응형

[노션 사용법] 다양한 위젯 추가하기!

오늘의 노션 사용법 위젯 추가하기 ! 노션에 아주 간단하게 위젯을 추가할 수 있는 "무료" 사이트를 발견했다. indify.co/ Indify – Notion Widgets Level up your Notion docs with widgets. Fully customizable, and seamless to set up. indify.co 생긴 지 얼마 안 됐는지 활용할 수 있는 위젯은 현재까지 6종류다. 명언 / Life Progress Bar (인생이 얼마나 남았는지 보여주는 바) / 날씨 / 구글 캘린더 연동 / 카운터 / 카운트다운 매 달 새로운 위젯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 위의 사이트에서 위젯을 가져와 사용하려면 로그인을 해야 한다. 로그인은 이메일로 가능하다. ▼▼▼ 이용방법은 매우 매우 ..

20조 규모의 뉴딜 펀드

뉴딜펀드?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뉴딜펀드는 3가지 펀드로 구성된다. 정책형 뉴딜펀드, 뉴딜 인프라펀드, 민간 뉴딜펀드. 투자대상은 1) 그린 스마트스쿨, 수소충전소 구축 등 뉴딜 관련 민자 사업 2) 수소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등 뉴딜 관련 프로젝트 3) 데이터 센터, 디지털 SOC 안전관리시스템,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 시설 등 민자사업 외 뉴딜 인프라 4) 뉴딜 관련 창업 벤처기업 여기서 규모 20조 원은 정책형 뉴딜펀드와 관련한 얘기다. 정책형 뉴딜펀드 정부는 향후 5년간 20조원 규모로 정책형 뉴딜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20조 중에 정부에서 3조 원, 정책금융기관에서 4조 원을 투입해 총 7조 원 규모의 모(母)펀드를 조성한다. 나머지 13조는 금융회사, 연기금, 민간자금의 투자로 이루어진다...

금융지식 시리즈 6 - 적립식 펀드

거치식 펀드? 적립식 펀드? 거치식, 적립식 펀드는 펀드의 종류가 아니고 펀드에 투자할 때 자금을 불입하는 방식을 말한다. 거치식은 목돈을 한 번에 불입하는 방식이고, 적립식은 매달 혹은 일정한 주기로 일정 금액을 불입하는 방식이다. 이는 펀드 투자시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인데 종잣돈 마련을 위해서는 적립식이 유리하다. 적립식 펀드는 은행의 적금상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수익률 면에서 보면 적립식 펀드가 적금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펀드의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적용되는 점도 적금과 비교해 장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펀드는 엄연한 투자상품으로 적금보다 리스크가 크다는 사실도 유념해야 한다. 본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적금을 할지, 적립식 펀드를 결정하자.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평균 매..

금융지식 시리즈 5 - ELS / ELF / DLS / ELD

ELS(Equity Linked Security, 주가연계증권): 정해진 시점에 특정 주가지수나 주식 가격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이면 사전에 약정한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이다. 지수를 기반으로 할 경우 지수형 ELS, 특정 기업의 주식을 기반으로 하면 종목형 ELS, 유가나 금, 환율 등 다양한 파생 상품 가격을 기반으로 하면 DLS 상품이라 부른다. ELS의 최대 장점은 지수나 주가가 조금 떨어져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주가가 하락할 경우 주식이나 펀드는 바로 손실로 이어지지만 ELS는 그렇지는 않다는 말이다. 때문에 등락을 반복하는 박스권 장세에서 투자하기 좋은 상품이다. 단점은 적립식이 아니고 목돈 거치식이란 점이다. 최소 10만원 혹은 100만원 이상이 필요한 상품이 대부분이다. 또한 ..

금융지식 시리즈 4탄 - P2P

P2P란? P2P는 Peer To Peer, 즉 대출자와 투자자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의 금융상품을 말한다. 이때 P2P 플랫폼 업체를 통해서 두 주체 간의 거래가 성사된다. P2P를 이용하는 대출자는 신용등급(4~7등급 정도의 중신용) 때문에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 등에서 고금리로 돈을 빌리기엔 부담이 되던 차에 P2P 서비스를 통해 중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P2P는 은행보다는 고금리 이자를 얻을 수 있으면서 주식이나 펀드보다는 안전한 새로운 투자 대안으로 다가왔다. P2P의 수익구조는 은행과 비슷하다.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사이의 차익을 은행이 중간에서 가져가듯이 P2P도 대출자와..

금융지식 시리즈 3탄 - 채권 (회사채, 전단채, RP)

채권은 정부, 기관, 기업 등이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라고 볼 수 있다. 채권을 발행하는 입장에서는 거액의 자금을 일시에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대출에 상응하는 이자를 채권 소유한 채권자에게 내야 한다. 이것이 채권자에게는 일종의 투자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채권에서 가장 흔한 형태는 '이표채'다. 만기에 이르기 까지 채권 금리만큼 정해진 이자를 정기적으로 수령하는 상품이다. 보통 3개월에 한번씩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회사채 : 채권은 신용도가 높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발행하는 국공채가 금리가 낮은 편이고 일반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회사의 신용도가 낮을 경우 높은 금리를 내세워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기도 한다. 회사채 금..

금융지식 시리즈 2탄 - CMA, MMF

CMA(Cash management Account) : 자산관리계좌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서 발급하는 수시입출금 통장이고 일반 계좌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하루만 돈을 맡겨놔도 이자가 붙는데다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고 입출금 또한 자유로워서 단기간 여유자금을 넣어두고 관리하기에 좋다. 증권사에서 만들기 때문에 CMA와 연결된 주식계좌를 개설하거나 펀드 등의 금융상품을 가입하는 데 편리하다. CMA를 가입할때는 금리보다는 수수료를 보고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해주는 상품이 최고다. CMA의 종류로 CMA-RP형, CMA-MMF형, CMA-MMW형이 있다. CMA-RP형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상품이다. RP(Repurchase Agreement)는 환매조건부 채권을 뜻한다. ..

금융지식 시리즈 1탄 - 자유입출금 통장, 예금, 적금

자유입출금 통장 자유입출금 통장은 다른 말로 파킹(parking) 통장이라고도 한다. 잠시 동안 주차를 하듯 은행에 내 돈을 짧은 시간 동안 맡긴다는 의미다. 자유입출금 통장의 장점은 정기예금보다 조금 더 많은 이자를 준다는 점이다. 이때 이자는 단 하루를 맡겨놔도 생긴다. 또한 언제든 돈이 필요하면 다시 빼내기도 쉬워 자금관리에도 유용하다. 금리는 상품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필요에 맞는 상품을 잘 골라야 한다. 세대 맞춤별 파킹 통장이 많은데 기본 금리는 보통 연 0.1~0.2% 수준이다. 여기에 우대 조건을 충족할 경우 연 1~3%까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우대 조건은 보통 카드 실적, 자동이체 실적, 통장에 급여가 입금되는 유무 등이 포함된다. 파킹 통장의 경우 금리가 높다고 해서 무턱대고 가입하는..

[책] 6개월에 천만원 모으기

재테크는 뭘까? 사전을 찾아보면 재테크는 '보유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라고 정의된다. 여기서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은 개인마다 다양할 것이다. 그렇다면 다양한 재테크 방법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방식은 뭘까? 이 책에서는 지출 통제와 저축을 꼽았다. 지출 통제와 저축은 이 책뿐 아니라 다른 많은 책과 영상에서도 재테크의 시작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언급된다. 쉽게 말해 한 달에 100만원을 생활비로 쓰는 사람이 가장 쉽고 빠르게 10% 이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은 10만 원을 절약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주식이나 부동산, 코인 등의 투자로 같은 수익을 내려면 따로 그만큼의 공부도 필요하고 공부를 한다고 해서 수익이 보장되지도 않는다. 그에 반해 절약은 나..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와 구글 서치 콘솔

내 블로그의 글이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대로 검색이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와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하는 것이다. 여기에 내 블로그의 rss와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먼저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https://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naver.com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하면 사이트를 등록할 수 있다. 내 블로그 주소를 입력! 사이트를 등록한 뒤 사이트 목록에서 내 블로그 주소를 클릭해 들어오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우리가 볼 것은 RSS제출과 사이트맵 제출 부분..

생산성./기타 2020.08.13

티스토리 블로그로 구글 애드센스 승인받기

6월 26일 - 블로그 생성 7월 14일 - 애드센스 승인 요청 7월 29일 - 수정이 필요하다는 답변 받음 8월 1일 - 애드센스 재승인 요청 8월 12일 - 최종 승인 애드센스 승인이 난 기념으로 어떻게 블로그를 만들고 애드센스 신청을 했는지 과정을 적어보기로 한다. 사실 어떤 기준에 따라 승인이 되고 거절이 되는지 정확히는 잘 모르겠지만 적당한 양의 글과 그 글이 인터넷에서 검색이 되는 여부가 중요한 것 같다. 1️⃣블로그 생성 블로그 주제는 일단 내가 현재 가장 관심 있어하는 것 + 내가 잘 알고 있는 주제로 정했다. 나의 경우는 4개의 주제가 있고 각각 집, 경제, 외국어, 생산성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첫 번째 애드센스 신청까지 일주일에 4-5개 글을 썼고 15개 정도 글이 쌓였을 때 신청을 ..

생산성./기타 2020.08.13

주식 - 포트폴리오 만들기

주식에서 포트폴리오란 어떤 종목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의 문제다. 여기서 핵심은 변동성 관리다. 변동성에 따라 주식을 3가지 포지션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 변동성 // 중 변동성 // 저 변동성 고변동성 주식은 기대 수익이 큰 만큼 손실 위험도 큰 종목 섹터 예) IT, 에너지, 원자재, 금융, 미래산업 저변동성 주식은 반대로 손실 위험이 작은 대신 기대 수익도 낮은 종목 섹터 예) 유틸리티,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ETF 예) S&P 500 ETF 중 변동성 주식은 말 그대로 이 둘 사이의 종목들로 중간 정도의 기대수익과 중간 정도의 손실 위험을 갖는다. 섹터 예) 커뮤니케이션, 산업재, 임의소비재/ ETF 예) 나스닥 ETF 잘 분포된 포트폴리오란? 시장이 좋을 때는 고변동성 종목에서 수익을 내..

경제./주식 2020.08.10

오래된 컴퓨터 되살리기 (삼성 860 EVO SSD)

우리 집 본가에는 내가 대학생 시절 쓰던 컴퓨터가 있다. 산지 한 7년쯤 됐는데 내가 바짝 2년 정도 썼고 그 이후로는 거의 인터넷서칭 용도로 쓰여왔다. 내가 그래픽 / 렌더링 등을 다뤄야 했기 때문에 당시에 꽤나 돈을 들여서 고사양으로 맞췄던 기억이 있다. 그래서 사양을 보면 지금 나오는 웬만한 보급형 컴퓨터만큼은 된다. 그런데 약 2년전부터 엄마가 컴퓨터가 너~~~ 무 느리다며 못쓰겠다고 했다. 그동안 본가에 오질 못해서 봐주지 못하다가 몇달전에 와서 봤는데 확실히 느려졌다. 처음 부팅에서부터 인터넷 창을 여는데까지 백만년이 걸리길래 컴퓨터 포맷을 하고 최적화도 시도해봤는데 별 효과가 없었다. 7년을 썼으니 갖다 버려야 하나? 생각하다가 컴퓨터 성능 테스트를 해봤다. 그랬더니 HDD의 수명이 다했음을..

생산성./기타 2020.07.30

글로벌 산업 분류 기준(GICS)과 섹터별 특징

미국 주식을 할 때 주식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빠르게 체크하기 위해 많이 애용하는 사이트가 있다. 바로 finviz의 Maps https://finviz.com/map.ashx?t=sec S&P 500 Map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finviz.com 페이지를 들어가면 다음과 ..

미국 주식 거래 시장과 주요 지수

미국에는 3대 증권 거래소가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나스닥(NASDAQ), 그리고 NYSE American. 이 3군데가 미국을 대표하는 증권 거래 시장이다. 이들은 모두 사기업이다. 여기서 잠깐. 우리나라는? 한국에는 KRX 한국거래소라는 공기업이 있고 여기서 코스피시장과 코스닥시장을 운영한다. -미국 3대 증권 거래소- 1️⃣뉴욕증권거래소(NYSE) 뉴욕증권거래소는 시가총액 합산을 기준으로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최대의 증권시장이다. 1792년에 뉴욕의 증권 중개인들이 월스트리트에서 증권을 거래하던 것을 시초로 만들어졌다. NYSE는 역사가 오래된 만큼 다양한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고 주로 20세기 혹은 그 이전의 전통적인 산업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의 비중이 큰 편이다. NYSE에는 외국 기..

반응형